경제용어사전

CB 전환가액 상향조정 의무화

 

사모 방식으로 전환사채(CB)를 발행한 상장기업은 주가가 하락해 전환가액을 하향조정한 뒤 주가가 상승하면 전환가액을 다시 올리도록 한 규정.

CB를 발행한 기업에 악재가 생겨 주가가 하락하면 전환가액을 낮추고, 콜옵션 행사를 통해 주식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문제는 CB에서 전환되는 주식 수가 많아지면, 기존 주주들의 지분가치가 희석된다는 점이다. 현행 규정은 주가가 하락할 때 전환가액을 최대 30%까지 내리는 경우만 규정하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2021년 12월 1일부터 사모방식으로 CB를 발행한 상장기업의 주가 하락으로 전환가액을 하향 조정한 뒤 주가가 오르면 전환가액을 상향조정하도록 의무화했다. 다만 상향조정의 정도는 최초로 정한 전환가액을 넘어서지는 않도록 했다.

또 콜옵션도 해당 기업의 보유 지분 이내로만 할 수 있도록 허용된다. CB 콜옵션 행사를 통해 지분을 늘리는 걸 막기 위해서다.

다만 공모 방식으로 발행된 CB는 전환가액 상향조정 의무화 규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규제 강화로 일부 벤처기업 등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의견을 반영한 것이다. 금융위는 “공모 형태의 Cb발행, 하이일드 채권 등 회사채 발행 시장이 정상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규제가 상대적으로 약한 공모 시장을 활용하게 될 것이란 기대다.

  • CVID[complete, verifiable, irreversible dismantlement]

    미국이 북한에 대해 유지하고 있는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 원칙을 말...

  •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미 카네기멜론대학 소프트웨어 공학연구소(SEI)와 산업계가 공동으로 개발, 보급하고 있는 ...

  • CATV[cable antenna television,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유선방송이나 공동청취방송 등으로 불린다. 당초 빌딩 밑이나 산간지방 등 전파장애가 발생하는...

  • CDS 스프레드[CDS spread]

    CDS 거래 시 채권을 발행한 회사가 부도가 날 것에 대비해 지불하는 보험 수수료다.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