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어음교환

 

각 은행의 대표자가 일정한 장소에 매일 집합하여 각기 보유하고 있는 어음을 교환하여 대차를 집합적으로 정산하는 제도를 말한다. 어음의 유통이 활발해지면 A은행의 어음은 B은행에, B은행의 어음은 C은행 등에 접수되는 경우가 빈번해지게 되며 다수 은행간의 그 결제를 위하여 매건마다 현금을 주고받는 것은 사무적으로 복잡하고 불편해지기 때문에 교환제도에 의해 은행들이 한꺼번에 상호 결제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교환 결과 상계되지 않은 잔액은 어음교환소 가맹금융기관한국은행에 개설한 당좌예금계정의 대차이체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유효기간

    파생상품의 수익을 확정하기 위해 기초자산 가격이 만족해야 하는 특정 가격범위.

  • 아라[Ara]

    구글의 자회사인 모토로라가 2013년 10월 발표한 ‘조립식 스마트폰’ 을 말한다. 직육면...

  • 유입 자산

    (공매) 한국자산관리공사가 법원 경매를 통해 취득한 재산이나 기업체로부터 취득한 재산.

  • 월말효과

    대부분 봉급생활자들의 급여일이 20일 이후에 몰려 있다 보니 적립식펀드로의 자금유입도 월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