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맞춤형 화장품

 

개인의 피부 상태나 취향에 맞춰 원료를 배합해 만드는 제품을 말한다.
조제관리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이 1)화장품의 내용물을 소분하거나 2)화장품의 내용물에 식약처장이 정한 원료를 혼합한 화장품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4년간 시범사업을 마치고 2020년 3월 14일부터 맞춤형 화장품 판매업 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한다.
취향을 중시하는 개인화 트렌드와 맞물리면서 업계에서는 맞춤형 화장품이 뷰티 시장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면마스크 성능

    면 마스크의 성능이 KF80 보건용 마스크의 4분의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평가된다. ...

  • 만능세포[pluripotent cell]

    지방세포 골세포 연골세포 신경세포 등 온갖 종류의 세포로 분화가 가능한 세포를 말한다. 줄...

  • 밀어서 잠금해제[slide-to-unlock]

    잠금 상태에 있는 휴대폰의 화면을 손가락으로 밀어서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이다. 애플이...

  • 몰입형 인터페이스[Immersive Interface]

    일상적인 행동으로 쉽게 사용하고, 몰입하게 만들 수 있는 혁신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