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용정보이용 보호법

 

개인의 신용정보를 이용하는 업체에 대한 자격 요건과 신용정보를 보호할 목적으로 신설된 제도. ‘신용정보사업자’로 허가받은 업체나 금융기관이 업무목적 외로 신용정보를 누설할 경우 손해배상의무를 지게 된다.

한신평한신정, 한기평 등 기존의 신용평가회사 등은 이 법에 의해 ‘신용정보사업자’로 허가받아 신용조사 및 신용조회업무를 할 수 있게 된다. 개인의 대출금이 일정 금액을 넘을 경우 대출현황이 은행연합회에 집중돼 각 금융기관이 개인별 대출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

이 법은 1995년 7월 6일부터 시행되었다. 신용정보제공 이용자란 신용정보법 시행령에 규정된 은행, 증권, 보험, 상호신용금고, 농수축협 등 금융기관과 대형유통업체, 카드회사, 중소기업협동중앙회 등이다.

  • 산업금융채권[industrial financial debenture, 산금채]

    한국산업은행이 1954년부터 기간사업 등에 대한 자금지원을 목적으로 발행하고 있는 특수채권...

  • 스텝업 ELS

    ELS 기초자산인 지수나 개별 종목 주가가 계약 시점보다 40~50% 이상 오르지 않아야 ...

  • 섬유내화 단열재

    각종 화학성분을 녹여 이불솜 형태로 만든 후 고온고압 상태에서 압축해 만든 것으로 내화성과...

  • 수출신용장[export credit]

    수입업자의 신용을 보증하기 위해 은행이 발행하는 증서를 수입신용장이라고 한다. 이를 수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