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블라인드 펀드

[blind fund]

투자처를 정해 놓지 않고 자금을 모아 경영참여 목적의 투자를 하는 PEF다. 투자 대상을 사전에 알고 거기에 동의해 펀드에 자금을 태우는 프로젝트펀드와 구분된다.
하지만 블라인드펀드라고 투자자(LP)들이 투자 대상을 모르는 게 아니다. 운용사(GP)는 투자하기 전부터 LP들과 협의하는 게 통상적이다. 투자자들이 최종 투자를 결정하는 투자심사위원회(투심위)에 참여해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하는 사례도 많다.
10년 넘게 블라인드펀드에 활발하게 투자해온 국민연금도 마찬가지다. 운용보고서에는 비상장사의 경우엔 신용평가기관이 작성한 공정가치보고서까지 첨부돼 있다.

자본시장법에서 금지하는 건 ‘의사결정 관여’다. 한 PEF 전문 변호사는 “과거에도 운용사들이 투자심사위원회에서 투자자들의 강한 반대에도 투자를 결정한 사례가 적지 않다”며 “자본시장법에서 투자자들은 블라인드펀드의 투자 대상을 놓고 협의할 수 있어도 최종 결정에는 관여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 비행장 차폐이론

    비행장 주변에 있는 가장 높은 장애물의 그림자가 덮을 수 있는 높이까지는 신규 건축을 허용...

  • 복리[compound interest]

    복리란 단위 기간마다 발생한 이자를 원금에 더해 다음 기간의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을 의미한...

  • 비커스 경도[Hardness Vickers, Hv]

    Hardness Vickers의 약자로 경도측정단위이자 방식. 영국인 Vicker가 개발한...

  • 방사성의약품

    특정 수용체에 결합하는 화합물에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붙인 의약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