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마이너스 금리 채권

[negative yield bonds]

만기시에 이자를 받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자를 떼고 원금을 지급하는 채권. 즉 현재 채권 가격에 비해 만기 상환 가격이 낮은 채권으로 마이너스 금리(수익률)로 발행된다. 외국에선 네거티브 금리 채권이라고 불린다.
마이너 금리 채권이 늘고 있다는 것은 과잉유동성으로 인해 채권시장에 거품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뜻한다.

블룸버그통신은 2019년 8월 30일 기준 세계에서 마이너스 금리로 발행된 채권 금액이 17조달러(약 2경580조원)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마이너스 금리 채권 규모는 최근 반 년 사이 두 배 가까이 커졌다.

투자자들이 마이너스 금리 채권을 매입하는 이유는 경기 침체 우려로 안전자산 선호가 커졌기 때문이다. 실제 마이너스 금리 채권의 대부분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유럽 주요국과 일본이 발행하는 국채다. 지난달 말 기준 글로벌 채권시장에 풀린 마이너스 금리 채권의 94%가량은 이들 국가 국채였다. 일본과 프랑스는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스위스와 독일은 모든 국채 금리가 마이너스를 나타내고 있다.

시세차익에 대한 기대도 마이너스 금리 채권 투자를 부추기는 요인이다. 마이너스 금리로 발행됐다 할지라도 만기 전에 채권 금리가 추가 하락하면 채권가격은 상승해 차익을 노릴 수 있다. 특히 각국 중앙은행이 자국 시장에 더 많은 유동성을 공급할 계획임을 밝히면서 채권시장의 전반적 가격 상승(금리는 추가 하락)을 불러올 것이란 기대가 퍼지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마이너스 금리 현상이 심화하면서 투자자들이 일대 혼란에 빠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 미국 투자이민[Employment-Based Immigration-5, EB-5]

    EB-5는 취업이민의 한 종류이지만 미국인 고용주가 있어야 가능한 취업이 아닌, 본인의 자...

  • 만기상환율

    만기보장수익률을 보장하기 위해서 만기때 원금과 프리미엄을 지급하는데, 이 때 지급되는 할증...

  • 미세플라스틱

    1㎛(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5㎜ 크기의 플라스틱. 애초에 작은 크기로 생산되기...

  • 미분양 아파트

    주택 건설업체가 입주자 모집 공고를 내고 입주자를 모집했으나, 정해진 일정 내에 계약이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