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그린론

 

신재생에너지, 전기자동차, 에너지 효율화 등 친환경 사업 프로젝트와 인프라 사업의 자금 조달에 활용되는 금융 기법이다. 그린 론을 통해 자금 조달에 성공하면 친환경 미래 사업이라는 이미지뿐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또 그린 론은 분할 인출이 가능해 투자 상황에 따라 자금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2019년 8월 15일 SK이노베이션은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그린 론(green loan) 형태로 한국 미국 유럽 중국 은행에서 각각 6억2000만달러(약 7500억원)와 5억위안(약 800억원) 등 총 8300억원의 자금을 빌리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조달 금리는 리보(런던 은행 간 거래 금리)에 0.98~0.99%포인트를 더한 수준으로 정해졌다.

SK이노베이션은 이 자금을 모두 배터리와 분리막 시설 투자에 쓸 계획이다. 우선 오는 21일 1억1000만달러를 빌려 헝가리 배터리 공장 건설에 투입한다. 이어 23일에는 뱅크오브아메리카 등에서 자금을 조달해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을 짓는 데 쓴다. SK이노베이션은 투자가 완료되는 2022년 국내를 포함해 40GWh 규모의 배터리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된다.

  • 국세환급금

    세법에 따라 중간 예납, 원천징수 등으로 납부한 세액이 납부해야 할 세액 보다 많은 경우...

  • 기가급 인터넷

    방송통신위원회가 2012년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 중인 인터넷 서비스를 말한다. 초당 100...

  • 그렉시트[Grexit]

    그리스(Greece)와 탈퇴, 탈출을 뜻하는 exit의 합성어로 그리스의 유로존 이탈을 뜻...

  • 곱버스

    '곱하기+인버스'를 줄인말. 주가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을 주는 상품인 '인버스'의 가격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