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유전자편집

[genome editing]

유전체 안의 특정한 DNA를 인식해 자르고 교정하는 기술. 특정 염기서열을 인지해 해당 부위의 DNA를 절단하는 유전자가위가 대표적이다. 유전병 및 난치질환 치료, 동·식물 품종 개량 등에 활용된다.

유전자를 자르는 물질에 따라 1세대 징크핑거뉴클레이즈, 2세대 탈렌, 3세대 크리스퍼 등으로 구분된다.

유전자 편집 기술은 몸밖에서 편집한 세포를 몸속으로 넣어주는 방식과 몸속에 직접 편집 물질을 넣어주는 방식으로 나뉜다. 지난해 미국 바이오회사 크리스퍼테라퓨틱스와 버텍스는 FDA로부터 몸밖에서 크리스퍼로 편집한 세포를 넣어주는 치료제 임상허가를 받았다. 혈액 질환자들의 조혈모 세포를 꺼내 유전자를 편집한 뒤 넣어주는 방식이다.

체내 편집은 이보다 난도가 높다. 몸속으로 들어간 유전자가위가 다른 부위를 자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면역계가 이물질로 인식하는 유전자가위를 질환이 생긴 부위까지 운반하는 것도 문제다. 이번 임상연구를 통해 이런 체내 유전자 편집 기술에 대한 우려가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업계에서는 기대했다.

관련어

  • 인터넷전화[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인터넷 전화는 통화권 구분없이 기존의 회선교환망(Circuit Network)이 아닌 인터...

  • 유기물 플라스틱 태양전지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모사한 ´인공 광합성 소자´로 플라스틱의 한 종류인 고분자와 플러린이...

  • 에고노미[egonomy]

    자아(Ego)와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사람들이 자신의 개성을 중시하며 상품을 소...

  • 인구 보너스[Demographic Bonus]

    전체 인구중에서 생산연령층은 많고, 어린이와 고령자는 적어 고도 경제성장이 가능한 상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