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감사시간제도
감사업무의 품질을 높이고 투자자 등 이해관계인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감사업무를 수행하는 감사인이 최소한 투입하여야할 감사시간을 의미한다. 2018년 개정된 외부감사법의 핵심내용으로 2019년 1월1일 부터 개시하는 사업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부터 적용되고 있다.
주요 내용은
▷표준감사시간이 직전년도 감사시간보다 30%(다만,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은 50%) 이상 상승하는 경우 30%(자산규모 2조원 이상은 50%)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승률 상한제 도입
▷자산규모 2조원 미만 기업은 단계적 적용, 유예(별표:그룹별 적용 예 참고)
▷특히 자산 200억원 미만 중소기업은 적용 배제
▷11개 그룹으로 세분화(당초안 6개 그룹)하여 기업별 특성을 최대한 반영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시간 가산율 30%(당초안은 40%)부터 단계적으로 적용 등이다.
표준감사시간제도는 회계 투명성을 위해 도입됐지만 감사시간이 크게 늘어나면서 상장기업의 외부감사비용이 50%이상 뛰는 등 기업에 부담을 주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
표본추출[sampling]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체 대상인 모집단(population)을 설정하고 부터 모집...
-
포지션 관리
외국환은행이 외환시장에서 사들인 외화와 판 외화의 차액을 일정 범위에서 유지토록 하는 제도...
-
표준 화물선 환산 톤수[compensated gross tonnage, CGT]
선박 건조량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톤수로 배의 화물 총중량(Gross Tonnage)에 여...
-
피구효과[Pigou Effect]
물가하락으로 현금구매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소비가 늘어 경제가 확장되는 현상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