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큐리티 산업

 

개인이나 민간을 대상으로 경비, 보안 등 각종 안전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을 총칭한다. 각종 위해로부터 개인의 이익이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이며 의뢰자인 고객으로부터 보수를 받고 경비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위라고 정의된다.

구체적으론 인력경비를 비롯해 시스템 경비, 무인자동화시스템, CCTV, 도난방지시스템 등을 들 수있다. 기존 경비산업과 비교해선 전자·정보통신 산업과의 연계성이 강하며 첨단장비를 통한 시스템 구축과 전국적인 통신망 운영 등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복잡한 사회환경 내에서 자신을 안전하게 지키려는 개인의 욕구와 범죄의 증가추세를 따르지 못하는 국가 경찰력의 한계라는 사회적 상황이 맞물리면서 시큐리티 산업이 태동했다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선1976년 ‘용역경비업법’이 제정되고 한국안전시스템(현재의 에스원)이 1호 업체로 등록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 수당

    기본급이 정상적인 근로조건 하에서의 노동의 대가라면 수당은 기본급에 덧붙여서 근무조건이나 ...

  • 선복량[船腹量, loading capacity, cargo capacity]

    배에 실을수 있는 화물의 총량. 일반화물선의 경우에는 적재가능한 화물의 최대중량을...

  • 소셜믹스[social mix]

    다양한 소득 계층이 한 지역이나 주거단지에 함께 거주하도록 유도하는 주거 정책 또는 도시계...

  • 수평적 결합[horizontal combination]

    비교되는 제품의 생산이나 판매에서의 유사한 기능을 가진 회사 간의 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