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드루젠

 

망막검사를 할 때 보이는 작고 둥근 황백색 병변을 지칭하는 말이다. 세포 대사로 생긴 노폐물이 망막색소상피에 쌓여 있는 것으로, 드루젠이 많으면 세포가 변형되고 손상될 위험이 크다.
드루젠은 노화 때문에 생긴다. 눈의 기능이 떨어지고 혈류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드루젠 같은 노폐물이 생긴다. 드루젠 의심 소견을 들었다고 해서 모두 질환이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정밀 검사를 거친 뒤 정상 색소침착으로 진단되는 환자도 있다. 만약 정밀검사에서 망막질환이라고 진단받으면 빨리 치료해야 시력을 유지할 수 있다. 드루젠 의심 소견 진단을 받았다면 정밀검사를 받아봐야 하는 이유다.
눈을 카메라에 비유했을 때 망막은 시각자극을 시신경으로 전달하는 필름에 해당한다. 망막의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부분이 황반이다. 황반변성은 황반이 변화하는 질환이다. 50세 이상 환자가 많다. 눈의 황반 부분에 드루젠이 생기면 크기와 수, 색소 변화 등 상태에 따라 진행 정도를 구분한다. 건성 황반변성은 드루젠 때문에 황반에 있는 시세포가 파괴돼 중심부 시력이 점차 약해지는 것을 말한다. 최근 환자가 급증하는 추세다. 건성 황반변성은 습성 황반변성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습성 황반변성이 생기면 불필요한 혈관이 생겨 시력이 떨어지고 심하면 실명한다.
황반변성 초기에는 시력이 떨어지고 물체가 휘어 보이거나 중심 부분이 보이지 않는 증상이 생긴다.

관련어

  • 디토 소비[Ditto consumption, follower consumption]

    특정 인물이나 콘텐츠, 커머스를 추종해 제품을 구매하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말한다. ...

  •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인터넷, 스마트폰, 소셜 미디어,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과 도구...

  • 디트로이트 모터쇼[North American International Auto Show]

    미국 디트로이트 자동차 딜러협회가 매년 1월에 디트로이트에서 개최하는 국제자동차 전시회로 ...

  • 데시벨[Decibel, dB]

    소음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소음이 공기에 가하는 압력으로 나타난다. 보통 나뭇잎이 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