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로스 팩터

[loss factor]

옥상, 기계실, 계단, 엘리베이터홀 등 원래는 임대할 수 없는 공용면적을 말한다.

미국의 경우 맨해튼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선 이런 공간은 임대면적에 포함하지 않는다. 하지만 맨해튼 건물주들은 이를 전용면적에 넣어 임대료를 더 받고 있다.
게다가 이런 로스팩터 비율은 몇 년에 한 번씩 높아진다. 맨해튼 건물주 단체인 REBNY에 따르면 로스팩터 비율은 2002년까지 18~20%였지만 2002~2004년 20~22%로 높아졌고, 2007년부터는 27%로 더 상승했다. 그만큼 실제 임대면적은 줄고 임대료 부담은 높아진다. 로스팩터 비율이 기존 20%에서 27%로 상향되면 1만제곱피트(929㎡)의 면적을 이용할 때 명목상 임대면적은 기존 1만2000제곱피트에서 1만2700제곱피트로 늘게 된다. 빌딩주로선 빌딩 면적은 그대로인데, 임대면적을 늘려 세입자와 재계약하는 것이다.

  • 리스자산[lease]

    리스회사가 기계, 설비 등 기업이 필요로 하는 물건을 기업 대신 구입하여 기업에게 사용료(...

  • 라이신[lysine]

    체내에서 합성되지 못하고 외부로부터 섭취해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의 일종. 사료용 동물성장 ...

  • 레이지 걸 잡[lazy girl job]

    레이지걸잡(Lazy girl job)을 직역하면 ‘게으른 소녀 직업’이다. 실제로 게으른 ...

  • 람다 변이[Lambda(λ) Variant]

    2020년 8월 페루에서 최음 보고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2021년 7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