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카도 대등정리
[Ricardian equivalence theorem]정부 지출이 고정된 상태에서 조세를 감면하고 국채 발행을 통해 지출 재원을 조달하더라도 경제의 실질 변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내용이다.
경제주체가 합리적이며 미래지향적임을 가정하므로 소비이론 중 절대소득가설보다는 항상소득가설이나 생애주기가설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리카도 대등정리는 제약된 가정에서 도출했기 때문에 성립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중 하나가 유동성 제약이다.
-
리오프닝[re-opening]
코로나19 사태로 위축됐던 경제활동이 재개(reopening되는 현상을 말한다. 백신...
-
리튬이온전지 분리막[Lithium-ion Battery Separator, LiBS]
전기자동차, 휴대폰, 노트북PC에 사용되는 2차전지에서 양극과 음극의 접촉을 차단해 전극...
-
레이저티닙[Lazertinib]
기존 치료제에 내성이 생긴 비소세포폐암을 치료하는 신약 후보물질. 선택적이며 비가역...
-
로코프 독트린
단기적으로 경제에 충격이 가더라도 재정지출을 과감히 축소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하버드대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