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리카도 대등정리

[Ricardian equivalence theorem]

정부 지출이 고정된 상태에서 조세를 감면하고 국채 발행을 통해 지출 재원을 조달하더라도 경제의 실질 변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내용이다.
경제주체가 합리적이며 미래지향적임을 가정하므로 소비이론 중 절대소득가설보다는 항상소득가설이나 생애주기가설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리카도 대등정리는 제약된 가정에서 도출했기 때문에 성립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중 하나가 유동성 제약이다.

  • 람다 변이[Lambda(λ) Variant]

    2020년 8월 페루에서 최음 보고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2021년 7월 1...

  • 림보세대[Generation Limbo]

    림보세대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사회적 현상으로, 대학을 ...

  • 리얼오디오[real audio]

    인터넷의 웹사이트는 기본적으로 문자·그림·음성정보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인...

  • 레벨업[level-up]

    사람들이 자신에게 주어진 한정된 수입 내에서 질적가치 위주의 소비를 하는 현상. 1000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