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샘암
[thyroid cancer]갑상샘은 목 앞쪽에 있는 호르몬 분비 기관으로 신체 대사를 조절한다. 갑상샘 세포에서 돌연변이가 생겨 조직의 한 부분이 커지면 결절이 생긴다. 결절은 양성과 악성(암)으로 나뉜다. 대부분의 갑상샘 결절은 양성 종양이지만 이 중 4~12% 정도가 갑상샘암으로 진단된다. 갑상샘 결절은 자라는 속도가 빠르지 않아 증상을 못 느끼는 환자가 많다. 초음파 검사로 발견할 수 있고 크기가 커지거나 결절이 갑상샘 앞쪽에 있으면 만져지기도 한다. 최근에는 건강검진을 하면서 초음파 검사를 받다가 우연히 발견하기도 한다.
갑상샘 결절 모양이나 크기를 보고 악성으로 의심되면 초음파를 보며 하는 세포검사인 세침흡인세포검사를 통해 갑상샘암 여부를 명확히 확인해야 한다. 세침흡인세포검사는 주사바늘로 세포를 떼내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검사다. 혈액을 뽑아 갑상샘 호르몬 검사도 해야 한다. 가족 중 갑상샘암 환자가 있거나 목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면 갑상샘암 위험이 높다.
쉰 목소리가 나고 주변에 림프절이 만져지며 갑작스럽게 결절의 크기가 커졌을 때도 마찬가지다. 결절이 딱딱하게 만져지기도 한다. 이때는 갑상샘암인지 아닌지를 분명히 확인해야 한다.
크기 작고 위험인자 없으면 추적 관찰만
갑상샘암은 20~60대에 가장 많이 생긴다. 대개 암은 나이가 많을수록 위험이 커지지만 갑상샘암은 젊은 나이에 생기기 쉽다. 갑상샘암과 결절은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4배 정도 많이 생긴다. 남성 갑상샘암은 증상이 여성보다 심한 상태에서 발견되거나 재발하는 일이 많다. 안심해서는 안 된다.
갑상샘암으로 의심된다고 모두 수술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크기가 0.5㎝ 미만이고 갑상샘 밖으로 침범하거나 림프절 전이가 없다면 정기적으로 초음파 검사를 하며 추적·관찰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갑상샘을 모두 잘라내고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하는 것이 표준치료법이었다. 그러나 갑상샘 한쪽에 생긴 초기암은 한쪽만 잘라내는 반절제를 해도 치료 성적이 같다는 것이 입증됐다. 반만 절제한 뒤 반대쪽 조직 갑상샘 호르몬 분비가 원활하거나 암 재발 위험이 낮다면 호르몬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된다.
손바닥 절반 정도 크기인 갑상샘은 기도와 식도, 경동맥과 부정맥, 목소리를 조절하는 되돌이후두신경, 칼슘 대사를 조절하는 부갑상샘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수술 완치율이 높지만 난도는 높은 편이다.
-
금속-절연체 전이[metal-insulator transition, MIT]
전기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가 금속으로, 혹은 금속이 부도체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
경쟁법 집행 일반원칙
중국에서 외국인이나 외국 기업에 의해 이뤄진 경쟁 제한적 행위에 대해 중국정부가 자국의 반...
-
경영안정지원자금
지방 소재 중소기업의 경영안정과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각 시·도별로 금융기관과...
-
긴급절전
2011년 9월15일 순환 단전 충격으로 정부가 2012년 도입한 제도다. 한국전력이 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