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무트 홀리 관세법
[Smoot–Hawley Tariff Act]미국이 대공황 초기인 1930년 산업 보호를 위해 제정한 관세법.
공화당 소속 리드 스무트 의원과 윌리스 홀리 의원이 주도한 법안으로 2만여 개 수입품에 평균 59%, 최고 400%의 관세를 부과하도록 한 법안이다.
이로 인해 세계 각국에 보호무역이 번졌고 대공황을 더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
선택적 디폴트[selective default, SD]
채무의 일부가 상환되지 않은 상태를 뜻한다. 채무 전체가 상환되지 않은 디폴트(채무불이행)...
-
소프트랜딩[soft landing]
경기 성장세가 꺾이지만 급격한 둔화로까지 이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원래 비행기나 우주...
-
선구매 후지불[Buy Now Pay Later, BNPL]
미국에서 소비자 대신 결제업체(BNPL)가 먼저 물건 값을 가맹점에 지불하고 소비자는 결제...
-
스마트TV[Smart TV]
PC와 스마트폰처럼 운영체제(OS)와 중앙처리장치(CPU)를 갖춘 TV다. TV와 휴대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