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탄화규소

[silicon carbide, SiC]

규소와 탄소로 구성된 화합물이다. 규소보다 저항은 작고 강도와 열전도율은 각각 10배, 3배 이상 높다. 열도 덜 발생한다.
주로 연마재로서 숫돌·연마포나 특수내화물·화학반응용기나 저항발열체나 반도체 재료로 사용된다.

탄화규소(SiC)는 전기차의 고전압·고열을 버티지 못하는 실리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업계가 주목하는 소재다. 질화갈륨(GaN)과 함께 ‘와이드 밴드갭’ 소재로도 불린다. 전자의 이동을 가로막는 에너지 장벽인 밴드갭이 실리콘보다 세 배 이상 높다. 밴드갭이 높을수록 고전압·전력에 강하다. 고온에서도 반도체 특성을 잃지 않고,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범위인 절연파괴전계도 실리콘보다 10배 이상 높은 것이 장점이다. 그만큼 정격전압이 높아져 부품의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탄화규소 전력반도체의 경우 에너지 손실량은 규소 전력반도체의 10% 수준에 불과하며 섭씨 200도 이상 고온에서 구동할 수 있다.

관련어

  • 트렌토협동조합 연맹[Cooperazaione Trentina]

    이탈리아에는 트렌토지역에 있는 단체로 이 연맹에는 500개가 넘는 협동조합이 가입돼 있다....

  • 특례과세제도

    영세사업자를 특별히 배려한다는 차원에서 만들어진 일종의 특례제도다. 전년도 매출액이 어느 ...

  • 탄층 메탄가스[coalbed methane]

    석탄층이 형성되면서 석탄에 흡착된 메탄가스다.

  • 타다금지법

    `11인승 이상 15인승 렌터카’를 통한 영업을 ‘대여시간이 6시간 이상이거나 대여·반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