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DDT]

유기염소 계열의 살충제이자 농약.
값싸고 빠르게 해충을 제거할 수 있어 2차 세계대전 이후 널리 보급됐다.

그러나 1960년대에 무분별한 DDT 살포가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미국에서는 1972년, 한국은 1979년부터 사용을 금지했다.

인체에 흡수되면 암은 물론 감각이상, 마비, 경련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반감기(체내에 들어오면 물질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기간)가 최대 24년으로 알려져 전 세계적으로도 사용이 엄격히 금지되고 있다.

  • 디자인경영[design management]

    소비자의 미적 만족 추구 경향이 강해지면서 "디자인을 경영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 도서정가제

    책 소매가격을 일정 비율 이상으로 할인하지 못하도록 강제하는 제도로 2003년 부터 시행되...

  • 디지털세[digital tax]

    다국적기업이 외국에 고정사업장을 운영하지 않더라도 매출이 발생한 곳에 세금을 내도록 하는 ...

  • 디레이팅[derating]

    주가수익비율(12개월 예상 PER기준)이 낮아지는 현상. 일반적으로 PER는 주가의 저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