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DDT]

유기염소 계열의 살충제이자 농약.
값싸고 빠르게 해충을 제거할 수 있어 2차 세계대전 이후 널리 보급됐다.

그러나 1960년대에 무분별한 DDT 살포가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미국에서는 1972년, 한국은 1979년부터 사용을 금지했다.

인체에 흡수되면 암은 물론 감각이상, 마비, 경련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반감기(체내에 들어오면 물질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기간)가 최대 24년으로 알려져 전 세계적으로도 사용이 엄격히 금지되고 있다.

  • 대폐지법안[Great Repal Bill]

    EU법을 무효화하고 영국의 법을 우선시하는 법안.

  • 드래프트 방식[draft]

    직장에서 상사가 함께 데리고 일할 부하 직원을 지명하는 인사 방식. 프로야구, 프로축구 등...

  • 돌파감염[突破感染, breakthrough infection]

    특정 질병 예방을 위해 백신을 접종했지만 접종자가 특정 질병에 감염되는 경우를 말한다. 백...

  • 담보채[secured bond]

    담보물의 보증, 저당 또는 유치권으로 보증된 채권. 채권의 성질은 신탁증서에 열거된다.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