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DDT]

유기염소 계열의 살충제이자 농약.
값싸고 빠르게 해충을 제거할 수 있어 2차 세계대전 이후 널리 보급됐다.

그러나 1960년대에 무분별한 DDT 살포가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미국에서는 1972년, 한국은 1979년부터 사용을 금지했다.

인체에 흡수되면 암은 물론 감각이상, 마비, 경련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반감기(체내에 들어오면 물질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기간)가 최대 24년으로 알려져 전 세계적으로도 사용이 엄격히 금지되고 있다.

  • 다채널방송서비스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 송·수신 방식이 디지털로 전환될 경우 데이터 압축기술을 통해 현재의 ...

  • 딥시크[DeepSeek]

    딥시크(DeepSeek)는 오픈 소스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개발하는 중국의 인공지능...

  •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

    온라인으로 음식 배달 서비스를 운영하는 독일 기업. 유럽과 중동, 아시아 등에서 사업 중이...

  • 데이터 센터[Data Center]

    대형 빌딩에 중앙 네트워크를 설치한 뒤 기업들의 인터넷 서버를 대신 관리하거나 서버를 직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