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목표전환형펀드

 

국내외 주식에 투자해 사전에 약속한 목표 수익을 거두면 투자자의 특별한 추가 의사표시 없이 편입 주식을 처분하고 단기 채권, 머니마켓펀드(MMF) 등으로 전환해 만기까지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는 상품. 보통 연 6~8%의 수익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통상 짧은 기간에 약간의 이익을 본 뒤 주식투자에서 빠져나오려는 투자자들이 가입한다.

펀드 종류는 투자처에 따라 국내 주식형, 해외 주식형, 채권형 등으로 나뉜다.

목표전환형 펀드는 주가 상승기였던 2011년에도 대거 출시됐는데, 이후 ‘박스권 장세’가 이어지면서 목표 수익률을 채울 때까지 최대 6년이 걸리기도 했다. 목표전환형 펀드는 애초에 설정한 수익률을 달성하면 주식형 펀드에서 채권형 펀드로 전환될 뿐 주가가 떨어질 때 파생상품 등을 이용해 하락폭을 줄여주지는 않는다.

  • 무결점운동[zero defects]

    개별 종업원에게 계획기능을 부여하는 자주관리운동의 하나로 전개된 것으로 종업원들의 주의와 ...

  • 미처분이익잉여금[unappropriated retained earnings]

    전기 이월이익잉여금과 당기에 발생한 순이익을 합한 금액을 말한다. 기업이 영업활동을 ...

  • 마하경영

    ‘비행기가 음속을 돌파하려면 설계 엔진 소재 부품 등 모든 것을 바꿔야 한다. 그런 차원에...

  • 미코노미[Meconomy]

    내가 주체가 되는 다양한 경제활동을 뜻한다. 나를 뜻하는 "Me"와 경제를 뜻하는 "e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