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목표전환형펀드

 

국내외 주식에 투자해 사전에 약속한 목표 수익을 거두면 투자자의 특별한 추가 의사표시 없이 편입 주식을 처분하고 단기 채권, 머니마켓펀드(MMF) 등으로 전환해 만기까지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는 상품. 보통 연 6~8%의 수익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통상 짧은 기간에 약간의 이익을 본 뒤 주식투자에서 빠져나오려는 투자자들이 가입한다.

펀드 종류는 투자처에 따라 국내 주식형, 해외 주식형, 채권형 등으로 나뉜다.

목표전환형 펀드는 주가 상승기였던 2011년에도 대거 출시됐는데, 이후 ‘박스권 장세’가 이어지면서 목표 수익률을 채울 때까지 최대 6년이 걸리기도 했다. 목표전환형 펀드는 애초에 설정한 수익률을 달성하면 주식형 펀드에서 채권형 펀드로 전환될 뿐 주가가 떨어질 때 파생상품 등을 이용해 하락폭을 줄여주지는 않는다.

  • 무역구제

    특정 물품의 덤핑수입이나 외국정부로부터의 보조금이나 장려금의 수령 또는 특정 물품의 수입증...

  • 메타슈머[Metasumer]

    평범한 제품에 변화를 더해 새로운 제품으로 변화시키는 소비자를 말한다. 저가 간식 재료인 ...

  •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 IoE]

    사람과 사물, 데이터, 프로세스 등 모든 것을 지능적으로 연결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

  • 물적분할[physical division]

    모회사의 특정사업부를 신설회사로 만들고 이에 대한 지분을 100% 소유해 지배권을 행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