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

[equity linked bond, ELB]

자산의 대부분을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국공채로 채우고 일부를 위험 자산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원금 보장형 ELS로 보면 된다. 위험 자산에 투자한 돈을 모두 잃어도 안전 자산에서 발생한 이자가 이를 상쇄하기 때문에 원금 손실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단 국공채를 발행한 국가가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선언하거나 ELB를 발행한 증권사가 파산하면 원금을 잃을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만기가 1년 이상이고 중도해지할 경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어 장기투자에 적합하다.

  • 재패나이제이션[Japanization]

    선진국의 경제가 1990년대부터 장기 침체에 들어갔던 일본의 전철을 따라가는 현상을 말한다...

  • 재정준칙

    국가채무 등 재정지표가 일정 수준을 넘지 않도록 강제하는 일종의 규범이다. 유럽에서 재정준...

  • 자본형성[capital formation]

    저축을 통한 재화와 용역을 생산하는 건물, 기계, 설비 등의 자본의 창출과 확장을 말한다.

  • 정보과잉

    리스크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정보가 너무 많아 오히려 위험이 증대된다는 것. 경제주체들이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