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리자드형 ELS

 

원금손실 위험을 낮추고 상환 기간은 앞당긴 주가연계증권(ELS) 상품. 리자드형은 하락장에서 수익을 일정 부분 포기하고, 원금을 최대한 회수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상품이다. 도마뱀(lizard)이 막다른 길에 몰리면 제 꼬리를 자르고 도망치듯 지수가 추가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면 조기상환을 통해 위험을 관리하게 된다.

일반적인 ELS 상품은 1차 조기 상환 시점에 기초자산 지수가 기준점(보통 80~85%) 밑으로 떨어질 경우 조기 상환을 받을 수 없다. 주가가 낮은 수준을 지속하면 불안감 속에 3년을 기다려야 한다. 하지만 리자드형은 상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도 녹인(보통 55~60%)에 진입하지만 않았다면 약속한 수익률의 절반(3%)만 받고 조기 상환할 수 있다.

  • 로터세일[Rotor Sail]

    선박 갑판에 설치하는 원기둥 형태의 구조물. 선박 주변 바람과의 압력차를 이용해 추...

  • 로봇세[Robot tax]

    로봇의 노동에 대해 매기는 세금. MS창업자인 빌게이츠가 2017년 2월 미국의 정보기술...

  • 로컬디밍[local dimming]

    백라이트를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해 화면의 어두운 부분에는 아예 백라이트를 꺼주는 기술. 소...

  • 리볼빙[revolving]

    신용카드 결제금액 중 일정비율만 결제하고, 나머지는 다음 달로 이월하는 결제 방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