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제고통지수

[economic misery index]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인 삶의 질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이 착안했다.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율)과 실업률을 합해 계산한다.

예를 들어 전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할 경우 국민은 이전보다 더 많이 지출해야 한다. 설사 임금이 올라 가계 소득이 증가한다 하더라도 물가상승률이 소득증가율보다 높으면 가계의 경제적 고통이 커진다. 실업 역시 직업을 갖지 못한 사람이 많아지면 당장 소득이 없기 때문에 국민이 느끼는 경제적 고통은 커지게 된다.

경제고통지수 산출은 한 나라의 물가상승률이 4%이고 실업률이 16%일 경우 그 나라의 고통지수는 20이 되는 식이다.

관련어

  •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VE]

    최저의 총비용으로 필요한 기능을 확실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분석에 기울...

  • 구글 트렌드[Google Trends]

    구글의 검색 키워드 추세를 지수화하고 이를 도표로 만들어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빅데이터 기반...

  • 금융공황

    신용관계의 급격한 붕괴로 금융시장 전반에 걸쳐 혼란이 야기된 상태. 생산과 소비의 불균형,...

  • 결제월

    일반적으로 3,6,9,12월 등 3개월 단위로 설정돼 있는 선물 매매계약의 이행월. 각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