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청년의무고용

 

정원의 3% 이상을 청년으로 고용하도록 의무화한 제도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한시적으로 공공기관과 공기업에 한해 적용되고 있다. 의무 고용을 달성하지 못하면 벌금을 내야 한다. 노동계는 이 제도를 대기업에 확대 적용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청년실업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는 명분에서다.
그러나 취업준비생들의 대기업 선호도가 높아 대기업에까지 청년의무고용할당제를 확대 적용하면 대기업 취업을 준비하는 취업준비생들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 초음파 진단기

    주파수가 큰 음파를 몸속으로 보낸 뒤 반사된 음파로 얻어진 영상을 보여주는 기기다. 초음파...

  • 청년고용증대세제

    청년 정규직 근로자를 전년보다 늘린 기업에 1인당 500만원(대기업·공공기관은 250만원)...

  • 친디아[Chindia]

    중국 (China)와 인도 (India)의 합성어.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친디...

  • 최고브랜드관리자[Chief brand officer, CBO]

    브랜드 관리를 기업경영 전략 차원에서 총괄하는 중역. 모토로라, P&G 같은 다국적기업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