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녹조

[綠藻, 水花, water bloom]

호수나 하천에서 서식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인 조류의 일종. 개체 수가 크게 늘어나면 물빛을 녹색으로 변화시키는데 영어로는 ‘water bloom(물꽃)’, 일본어로는 ‘미즈노 하나(水の華)’라고 한다. 우리나라 학계는 이를 번역해 물꽃현상 또는 수화현상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바닷물이 붉게 물드는 ‘적조(赤潮)현상’과 대비해 강이나 호수에서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녹조현상이라 부르기 시작했고, 지금은 일반에 쉽게 이해되는 용어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마이크로시스티스 등 일부 녹조류(남조류)는 인체에 해를 끼치는 독성물질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조류독소는 정수처리를 거치며 완전히 제거되는 만큼 먹는 물의 안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 뉴 이코노미[New Economy]

    미국의 장기 경제호황을 설명하는 새 경제학이론. 이 이론은 18세기 산업혁명보다 파급 효과...

  • 내부통제[internal control]

    효율성을 촉진시키고 정책수행을 확신시키며 자산을 보호하고 부정이나 오류를 적발하기 위해 고...

  • 노정장입장치[爐頂裝入裝置]

    철광석과 코크스 등의 제철원료를 고로 안에 균등하게 넣어주는 설비.

  • 노동개혁 5대 법안

    근로기준법 개정안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고용보험법 개정안,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