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동력분산식 열차

 

디젤 엔진이나 전기 모터 같은 동력원이 모든 전동차량에 장착돼 있는 열차. 기존 열차는 맨 앞과 맨 뒤에 동력장치가 달려 있어 앞이나 뒤에서 끌어주는 방식이다. 동력분산식 열차는 열차 량마다 동력장치를 설치해 공간을 아끼고 가속과 감속 성능이 뛰어나다는 분석이다.
사륜구동 자동차에 비유돼 가속하거나 급정차할 때 안전한 게 강점이다. 기차역 구간이 짧고 산악 지형이 많은 한국에 적합하다는 평가가 많다.
우리나라에선 현대로템이 2012년 세계에서 네 번째로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국산화에 성공했다.
현대로템은 2016년 5월 23일 코레일에 처음으로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해무 250(EMU-250)’30량(량당 약 34억원, 총 1020억원)에 대한 입찰에서 수주를 성사 시킨바있다.

  • 대기성 여수신제도

    금융기관이 단기자금을 콜금리시장에서 조달하지 못했을 때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 돈을 빌릴 ...

  • 대왕고래 프로젝트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경상북도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 가능성을 조사하...

  • 도메인 판매업체[domain reseller]

    도메인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업체. 도메인 관리업무를 대행하는 업체가 리셀러를 겸하기도 한...

  • 동박[elecfoil, copper foil]

    황산구리용액을 전기 분해해 만드는 두께 10㎛(1㎛=100만분의 1m) 이하의 얇은 구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