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업 필터링 알고리즘
[collaborative filtering]같은 콘텐츠를 좋아하는 사람은 콘텐츠 취향이 비슷할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한 알고리즘. ‘갑’이 A·B 콘텐츠를 좋아하고 ‘을’이 B·C 콘텐츠를 좋아한다면 갑에게는 C를, 을에게는 A를 추천하는 식이다. 콘텐츠 평가에 참여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데이터가 쌓일수록 추천 정확도가 높아지는 머신러닝 기술이 적용됐다. ‘협업 필터링’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다. 마침 빅데이터 시대로 접어들면서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는 더 힘을 받고 있다.
협업 필터링은 1992년 미국 제록스의 팰러앨토 리서치센터가 구축한 정보 검색 시스템을 시초로 본다. 콘텐츠 서비스에 적용된 것은 같은해 폴 레즈닉 미시간대 교수가 미네소타대 연구팀과 함께 유즈넷 넷뉴스(USENET Net news)의 뉴스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면서다. 이후 이 알고리즘은 아마존이 도서 추천 시스템에 적용하면서 유명해졌다.
-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XR]
XR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아우르는 혼합현실(MR) 기술을 망라하는 용어다...
-
한국거래소[Korea Exchange]
한국증권거래소를 비롯 코스닥,한국선물거래소,코스닥위원회가 합병된 통합거래소를 말한다. 20...
-
학점은행제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이나 전문학원 등 학점인정기관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뤄지는 학습을 학점으...
-
한국배당주가지수[Korea Dividend Stock Price Index, KODI]
일정수준이상의 수익성(자기자본이익율), 시장대표성(시가총액), 유동성(거래대금)이 있는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