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베란다

[veranda]

일반적인 2층 주택의 경우 위층이 아래층보다 작다. 이때 남는 아래층의 지붕 부분을 난간으로 막은 게 베란다이다. 즉 1층 면적의 남는 부분을 2층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꾸민 공간이다. 베란다는 건축법상 확장하면 불법이다.

베란다는 옥외가 아니라 옥내의 양지바른 남향에 있는 경우가 많다. 정원과 접해 있는 한옥주택의 툇마루를 상상하면 된다. 건축면적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그동안 우리가 무심코 써온 아파트 베란다는 사실 발코니를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발코니보다 좀 길고 지붕으로 덮여 있는 공간을 베란다로 통칭해왔지만, 건축법에서는 ‘거실을 연장하기 위해 밖으로 돌출시켜 만든 공간’을 발코니라고 한다.

발코니는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서비스 공간으로 세금적용이 되지 않는다. 확장했을 때 전용면적이 10%에서 20%까지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발코니는 국토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가벽을 세우거나 지붕 세시등의 공사를 해 거실과 침실, 창고 등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아파트 거실에 붙은 외부 공간은 발코니다. ‘베란다 확장’이라는 말은 사실 ‘발코니 확장’으로 부르는 것이 맞다.

  • 비과세 저축

    이자소득에 대해 세금을 떼지 않는 금융상품을 말한다. 보통 금융상품 이자소득에 대한...

  • 바터무역[barter trade]

    돈의 사용없이 상품이나 재화를 교역하는 물물교환을 말한다. 구상무역이라고도 불리는 바터무역...

  • 블랙아웃[black-out]

    일시적으로 전기수요가 폭증해 공급능력을 뛰어넘을 때 발생하는 대규모 정전상태를 말한다. ...

  • 배면시트[Back Sheet]

    태양전지용 셀의 보호용 필름. 외부충격 및 부식을 막아주고 불순물의 내부침투를 차단해 태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