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행동주의 투자

[activist investment]

지배구조가 좋지 않거나 경영상의 비효율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투자해 일정 수준의 의결권을 확보한 뒤 사업전략 변화나 구조조정, 지배구조 개선 등을 유도해 단기간에 기업가치를 높여 수익을 올리는 투자 행태를 뜻한다.

기업가치가 오를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적극적인 경영 개입을 통해 이를 실현시킨다는 의미에서 행동주의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 현지법인

    해외직접투자의 결과로 해외현지에 해당국의 법에 따라 설립한 독립된 법인체를 말한다.

  • 환경경영체제 인증[ISO14000]

    ISO에서 발행한 품질경영시스템(quality management system) 규격. 기...

  • 혼혈인

    서로 인종이 다른 부모에 의하여 태어난 자녀에게 양쪽의 형질이 섞이는 일 또는 그 혈통을 ...

  •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

    호라이즌 유럽은 EU가 2021년부터 2027년까지 7년간 선정된 연구 과제에 총 955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