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불법조업국

[illegal, unreported, unregulated fishing country, IUU fishing country]

지속가능한 어업과 해양생태계의 주된 위협 중 하나인 남획(濫獲)을 막기 위한 제도로 세계식량기구(FAO), 유엔(UN) 등 국제 기구와 공조해 미국, EU 등 선진국이 주로 운영한다.

각 조업국가는 해당국 선사의 불법조업을 막기 위해 선박위치추적장치 부착 및 조업감시등의 활동을 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2019년 9월 19일 (미국 현지시간) 미국 정부로부터 예비불법조업국으로 지정됐다. 한국이 예비 IUU로 지정된 것은 2013년 1월과 11월 각각 미국과EU로 부터 원양어선의 불법 어업과 관련 시스템 미흡 등으로 이유로 예비 IUU로 지정됐었다.
예비 불법어업국으로 지정되면 2년간 미국과 개선조치 협의과정을 거쳐야하고 여기서 개선이 되지 않을 경우 미국 항만에 입항이 불가능해지고, 수산물 수출도 금지된다.
.

  • 보험금[claim paid]

    보험계약이 만료되거나 피보험자가 보험사고를 당하였을 경우 보험자가보험수익자에게 지급하는 금...

  • 불확실한 균형[Precarious Balance]

    미국 없이도 세계 경제가 돌아가고 미국이 타국에 의존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 북방경제협력위원회[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Northern Economic Cooperation]

    유라시아지역의 경제협력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문재인 정부가 2017년 8월 대통령 직속으...

  • 벤처기업[venture business]

    벤처투자기관으로부터 투자받은 금액이 자본금의 10%이상이거나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 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