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퇴선 명령

 

퇴선은 선박이 더 이상 항해를 할 수 없는 상황에 빠졌거나 선박이 위험에 처해 이른바 배를 포기하고 이탈하는 상황을 말한다.

현행법에는 "퇴선 명령"의 권한이 누구에게 있는지는 명시적인 조항이 없다고 한다. 다만 선박안전법 31조와 해사안전법 45조에 규정된 선장의 포괄적인 권한 중 퇴선 명령도 포함하는 것으로 법조계와 해운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 특수관계인

    회사의 대주주와 특수 특수한 관계에 있는 사람. 상법·공정거래법·자본시장법 등에서 규...

  • 티어[Tier]

    미국 환경청(EPA)에서 시행하고 있는 배출가스 규제 제도. 자동차·건설기계·농기계에서 나...

  • 특정병원체부재동물[specific pathogen free animal, SPF animal]

    특정 병원성 미생물에 감염되지 않은 것이 확인된 실험동물.

  • 택스마게돈[Taxmageddon]

    세계 각국이 늘어만 가는 정부 지출에 충당하기 위해 세금을 대폭 올리는 것을 빗댄 조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