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포템킨 경제

[Potemkin economy]

겉은 번지르르하지만 속은 썩은 경제 상황을 말한다.

1787년 러시아 여제인 예카테리나 2세가 새 합병지인 크림반도 시찰에 나서자, 해당 지역 총독이었던 그레고리 포템킨은 여제의 환심을 사기 위해 낙후된 크림반도의 모습을 감추기 위해 시찰주변지역에 겉만 화려한 가짜 마을을 조성했다..
이렇듯 초라한 현실을 숨기고 다른 모습을 연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공의 상태나 상활을 '포템킨 빌리지'라고 부른다.

이 말은 옛 소련 해체 후 폴 크루그먼 등이 자주 사용해서 경제용어로 자리 잡았다. 2012년 까지 7년간 연평균 7%씩 성장하던 러시아 경제가 푸틴이 재집권한 2013년 1.3%로 추락했고 2014년 3월 크림 사태 이후 외국 자본까지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상황을 두고 포템킨 경제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됐다.

  • 포용적 성장

    사회 각 구성원에게 균등한 경제활동 참여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불평등 완화와 경제 성장...

  •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영국의 경제학자 필립스가 찾아낸 실증 법칙으로 실업률이 낮으면 임금상승률이 높고 실업률이 ...

  • 파이어 월[fire wall]

    파이어 월은 방화벽 또는 침입방지 시스템으로 풀이되는 컴퓨터 보안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한 ...

  • 프리텍스팅[Pretexting]

    다른 사람의 통화기록과 같은 사적인 정보를 회사 등이 본인을 사칭해 입수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