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템킨 경제
[Potemkin economy]겉은 번지르르하지만 속은 썩은 경제 상황을 말한다.
1787년 러시아 여제인 예카테리나 2세가 새 합병지인 크림반도 시찰에 나서자, 해당 지역 총독이었던 그레고리 포템킨은 여제의 환심을 사기 위해 낙후된 크림반도의 모습을 감추기 위해 시찰주변지역에 겉만 화려한 가짜 마을을 조성했다..
이렇듯 초라한 현실을 숨기고 다른 모습을 연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공의 상태나 상활을 '포템킨 빌리지'라고 부른다.
이 말은 옛 소련 해체 후 폴 크루그먼 등이 자주 사용해서 경제용어로 자리 잡았다. 2012년 까지 7년간 연평균 7%씩 성장하던 러시아 경제가 푸틴이 재집권한 2013년 1.3%로 추락했고 2014년 3월 크림 사태 이후 외국 자본까지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상황을 두고 포템킨 경제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됐다.
-
필수유지업무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거나, 국가긴급사태를 초래할 수 있는 업무, 안전과 사고방지를 ...
-
폐쇄형 네트워크 서비스[walled garden]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중 사업자가 허용한 콘텐츠 만 이용하도록 제한하는 ...
-
피터의 법칙[Peter''s Principle]
조직의 상위 직급은 무능한 인물로 채워질 수밖에 없다는 이론으로 미 컬럼비아대 로렌스 피터...
-
프랙탈[fractal]
부분이 전체를 닮는 자기 유사성의 특징을 일컫는 용어. 일정 기간의 날씨 패턴은 긴 주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