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포템킨 경제

[Potemkin economy]

겉은 번지르르하지만 속은 썩은 경제 상황을 말한다.

1787년 러시아 여제인 예카테리나 2세가 새 합병지인 크림반도 시찰에 나서자, 해당 지역 총독이었던 그레고리 포템킨은 여제의 환심을 사기 위해 낙후된 크림반도의 모습을 감추기 위해 시찰주변지역에 겉만 화려한 가짜 마을을 조성했다..
이렇듯 초라한 현실을 숨기고 다른 모습을 연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공의 상태나 상활을 '포템킨 빌리지'라고 부른다.

이 말은 옛 소련 해체 후 폴 크루그먼 등이 자주 사용해서 경제용어로 자리 잡았다. 2012년 까지 7년간 연평균 7%씩 성장하던 러시아 경제가 푸틴이 재집권한 2013년 1.3%로 추락했고 2014년 3월 크림 사태 이후 외국 자본까지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상황을 두고 포템킨 경제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됐다.

  • 포주엘로스 염호[Pozuelos]

    아르헨티나 살타(Salta)주 해발 4000m고도에 있는 염호. 리튬 매장량이 150만...

  • 필수산업[essential industry]

    다른 경제와의 경쟁우위 또는 경쟁열위에도 불구하고 정치적또는 경제적 이유에 의해 그 자체의...

  • 프론티어 마켓

    미국의 신용평가사 스탠더드&푸어스(S&P)가 이머징 마켓 중에서 특히 규모가 작은 22개 ...

  • 포괄적 연금통계

    기초연금, 국민연금, 직역연금(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주택연금, 개인연금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