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포템킨 경제

[Potemkin economy]

겉은 번지르르하지만 속은 썩은 경제 상황을 말한다.

1787년 러시아 여제인 예카테리나 2세가 새 합병지인 크림반도 시찰에 나서자, 해당 지역 총독이었던 그레고리 포템킨은 여제의 환심을 사기 위해 낙후된 크림반도의 모습을 감추기 위해 시찰주변지역에 겉만 화려한 가짜 마을을 조성했다..
이렇듯 초라한 현실을 숨기고 다른 모습을 연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가공의 상태나 상활을 '포템킨 빌리지'라고 부른다.

이 말은 옛 소련 해체 후 폴 크루그먼 등이 자주 사용해서 경제용어로 자리 잡았다. 2012년 까지 7년간 연평균 7%씩 성장하던 러시아 경제가 푸틴이 재집권한 2013년 1.3%로 추락했고 2014년 3월 크림 사태 이후 외국 자본까지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상황을 두고 포템킨 경제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됐다.

  • 팍스 시니카[Pax Sinica]

    라틴어로 팍스(Pax)는 평화(Peace), 시니카(Sinica)는 중국(China)이라는...

  • 팻 겔싱어[Pat Gelsinger]

    미국의 반도체 업체인 인텔의 전설적인 엔지니어이자 CEO. 1961년 3월 5일 출생...

  •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트산[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PGMEA]

    반도체 EUV(극자외선) 공정에 쓰이는 핵심 원료. 반도체용 시너(thinner)로 ...

  • 폰 뱅킹

    기업이나 단체 등의 컴퓨터 혹은 단말기를 금융기관과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여 자금이체 및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