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뉴 앱노멀

[New Abnormal]

‘신 혼돈’ ‘새로운 비정상’ 등으로 해석되는 뉴 애브노멀은 시장의 변동성이 일시적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존재해 불확실성이 매우 커지는 상황을 일컫는다.

종전의 이론과 규범이 통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래 예측까지 어렵다는 의미로 대표적인 경제 비관론자인 누리엘 루비니 미국 뉴욕대 교수가 처음 언급한 용어.

2008년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이전은 ‘노멀’, 이후의 새로운 경제 질서를 뜻하는 ‘뉴 노멀’에 이어 등장한 용어가 ‘뉴 앱노멀’이다.

루비니 교수가 보는 뉴 앱노멀은 저성장, 긴축에 따른 피로감, 지나친 소유권 등이 경제활동을 방해하는 현상이다. 뉴 노멀 시대에는 쉽지는 않지만 경제 발전을 예측할 수 있었던 반면에 뉴 앱노멀 시대에는 예측이 힘들어 대응이 더 힘들어진다.

관련어

  • 노시보 효과[Nocebo Effect]

    진짜 약을 줘도 환자가 효과가 없다고 생각하면 약효가 나타나지 않은 현상을 말한다. 약효가...

  • 네덜란드 병[Dutch disease]

    천연자원에 의존해 급성장한 국가가 산업 경쟁력 제고를 등한시해 결국 경제가 뒷걸음질하고 국...

  • 노드[Node]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지능형 통신 장치를 말한다.

  • 님트[not in my term, NIMT]

    자신의 임기 중에는 환경 오염 시설물 설치, 구조조정, 미세먼지 대책, 연기금개혁, 방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