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장수채권

[longevity bonds]

수익률을 국민 평균기대수명 등에 연동시켜 수명이 증가하면 이자 등을 추가로 지급해 수익률이 높아지는 채권이다. 한국에서는 2016년 도입을 목표로하고 있다. 2013년 12월 현재 검토 중인 방안은 정부가 장수채권을 발행해 연기금, 보험사 등 연금지급자가 투자하도록 하는 것이다. 장수채권을 통해 정부는 연금지급자에게 생존율에 연동하는 이자를 지급하게 된다. 금융회사는 장수채권 투자를 통해 장수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 자일로스

    자일리톨의 원료가 되는 단당류 소재다. 자일리톨은 충치의 원인이 되는 물질을 만들어 내지 ...

  • 자본잠식[impaired capital]

    순자산이 자본금보다 적어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기업이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하면, 처음에는...

  • 자체 제작물[original contents]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OTT)나 전자책 플랫폼 등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해 공개하는 콘텐츠를 ...

  • 자동이체 통합관리서비스

    여러 금융회사에 등록되어 있는 본인의 자동이체 등록정보를 금융결제원에서 구축한 웹사이트 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