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장수채권

[longevity bonds]

수익률을 국민 평균기대수명 등에 연동시켜 수명이 증가하면 이자 등을 추가로 지급해 수익률이 높아지는 채권이다. 한국에서는 2016년 도입을 목표로하고 있다. 2013년 12월 현재 검토 중인 방안은 정부가 장수채권을 발행해 연기금, 보험사 등 연금지급자가 투자하도록 하는 것이다. 장수채권을 통해 정부는 연금지급자에게 생존율에 연동하는 이자를 지급하게 된다. 금융회사는 장수채권 투자를 통해 장수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 지급률

    재직연수 1년을 채울 때마다 현 소득 대비 은퇴 후 받게될 연금액의 비율. `소득대체율'...

  • 잠재 산출량[potential output]

    한 나라의 경제가 인플레이션을 일으키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량을 의미한다. 이는...

  • 자본활동성

    기업이 경영활동을 영위하는 데 있어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모든 자본이 충분히 활용돼 유휴자...

  • 잠재지분

    향후 일정한 요건에 따라 행사되는 권리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지분을 말한다. 예를 들어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