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도르세 역설
[Condorcet’s paradox]프랑스 대혁명시대의 정치가이자 수학자인 콩도르세가 다수결이 만능이 아니라는 점을 입증하려 한 논리다. ‘투표의 역설(voting paradox)’이라고도 불리는 콩도르세의 역설은 최다득표제가 유권자의 선호도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한 유권자가 A를 B보다 선호하고(A>B), B를 C보다 선호할 경우(B>C), A를 C보다 좋아해야 한다(A>C). 하지만 최다득표제하에서는 이 같은 선호 이행성에 위배되는 결과(C>A)가 나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 다수결을 통한 투표가 구성원의 선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마디로 다수결에도 큰 함정이 있다는 것이다.
-
카탈린 카리코[Karikó Katalin,]
독일 바이오엔테크(BioNTech) 수석 부사장. 1955년 헝가리 태생으로 일평생을...
-
클라우드 OS
애플리케이션(앱)을 스마트폰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웹에서 바로 구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
-
코스피200 지수[Korea Stock Price Index 200, KOSPI 200]
코스피200지수는 한국을 대표하는 200개 기업의 시가총액을 지수화한 것이다. 주가지수 선...
-
콘크리트 세그먼트[concrete segment]
터널용 조립식 건축자재를 말한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 지하철 굴착공사에 널리 사용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