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디드로 효과

[Diderot effect]

문화적으로 연결이 강하다고 여겨지는 소비재에 관한 사회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프랑스의 학자 드니 디드로의 저술에서 가장 먼저 사용됐으며 이후 소비 패턴을 연구하는 인류학자 그랜트 매크래켄이 1988년 ‘문화와 소비’에서 소개했다.

쉽게 말하면 하나의 물건을 갖게 되면 그것에 어울리는 다른 물건을 계속해서 사게 되는 현상을 뜻한다. 즉, 제품 간 조화를 추구하는 욕구가 소비에 소비를 불러 충동구매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상품들 사이에 기능적 동질성이 아닌 정서적·심미적 동질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눈으로 보여지는 제품일수록 이 효과는 강하게 나타난다 디드로 효과는 디드로의 에세이 ‘나의 오래된 가운을 버림으로 인한 후회’에서 처음으로 언급됐다. 그는 어느 친구가 선물한 우아하고 멋진 붉은색의 겉옷이 옛날 가운을 대체하면서 선물받은 옷에 어울리게 책상이 바뀌고, 벽걸이가 바뀌고, 결국에는 모든 가구와 인테리어가 바뀐 일화를 소개했다.

  • 다우존스[Dow Jones]

    세계적인 명성을 지니고 있는 금융정보, 언론서비스 회사. 다우존스 산업지수, 운수업종지수 ...

  • 데자뷔[deja vu]

    처음 접하는 상황, 또는 장소인데도 왠지 익숙하게 느껴지는 현상을 뜻한다. 1900년 프랑...

  • 대공황[Great Depression]

    경제활동이 굉장히 둔화되고 실업률이 매우 높았던 1929년 말부터 제2차 세계대전 발발시까...

  • 드론 실증도시[Drone Air City]

    도심지역에서 드론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상용화가 허용되는 도시. 정부는 2019년 하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