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디드로 효과

[Diderot effect]

문화적으로 연결이 강하다고 여겨지는 소비재에 관한 사회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프랑스의 학자 드니 디드로의 저술에서 가장 먼저 사용됐으며 이후 소비 패턴을 연구하는 인류학자 그랜트 매크래켄이 1988년 ‘문화와 소비’에서 소개했다.

쉽게 말하면 하나의 물건을 갖게 되면 그것에 어울리는 다른 물건을 계속해서 사게 되는 현상을 뜻한다. 즉, 제품 간 조화를 추구하는 욕구가 소비에 소비를 불러 충동구매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상품들 사이에 기능적 동질성이 아닌 정서적·심미적 동질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눈으로 보여지는 제품일수록 이 효과는 강하게 나타난다 디드로 효과는 디드로의 에세이 ‘나의 오래된 가운을 버림으로 인한 후회’에서 처음으로 언급됐다. 그는 어느 친구가 선물한 우아하고 멋진 붉은색의 겉옷이 옛날 가운을 대체하면서 선물받은 옷에 어울리게 책상이 바뀌고, 벽걸이가 바뀌고, 결국에는 모든 가구와 인테리어가 바뀐 일화를 소개했다.

  • 데미스 하사비스[Demis Hassabis]

    영국의 인공지능 과학자이자 구글 딥마인드의 대표이자 2024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 ...

  • 대출금 출자전환[debt-equity swap]

    은행이 기업에 빌려준 대출금을 그 기업의 주식으로 맞바꾸는 것. 대출금을 주식으로 전환하면...

  • 동학개미운동

    2020년 초들어 코로나 19 사태로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가 삼성전자를 필두로 한국 주식을...

  • 동산금융

    케이블카, 크레인, 원자재 등 기업의 동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이다. 부동산 등 자산이 없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