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드로 효과
[Diderot effect]문화적으로 연결이 강하다고 여겨지는 소비재에 관한 사회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프랑스의 학자 드니 디드로의 저술에서 가장 먼저 사용됐으며 이후 소비 패턴을 연구하는 인류학자 그랜트 매크래켄이 1988년 ‘문화와 소비’에서 소개했다.
쉽게 말하면 하나의 물건을 갖게 되면 그것에 어울리는 다른 물건을 계속해서 사게 되는 현상을 뜻한다. 즉, 제품 간 조화를 추구하는 욕구가 소비에 소비를 불러 충동구매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상품들 사이에 기능적 동질성이 아닌 정서적·심미적 동질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눈으로 보여지는 제품일수록 이 효과는 강하게 나타난다 디드로 효과는 디드로의 에세이 ‘나의 오래된 가운을 버림으로 인한 후회’에서 처음으로 언급됐다. 그는 어느 친구가 선물한 우아하고 멋진 붉은색의 겉옷이 옛날 가운을 대체하면서 선물받은 옷에 어울리게 책상이 바뀌고, 벽걸이가 바뀌고, 결국에는 모든 가구와 인테리어가 바뀐 일화를 소개했다.
-
단지형 다세대주택제도
100가구 미만의 다세대·다가구주택 건설을 촉진하기 위해 놀이터, 관리사무소 등의 시설기준...
-
독점시장[monopoly market]
하나의 공급자로서의 독점기업이 가격설정자로 행동하며, 진입장벽을 활용해 장기적으로 초과이윤...
-
다중서비스 지원플랫폼[Multi-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MSPP]
통신사업자가 고객 전용 서비스 증설시 추가 망을 구축할 필요 없이 전용회선·음성·이더넷(근...
-
다운사이징[downsizing]
기구축소 또는 감원을 뜻하는 경영기법. 원가절감이 목표이기는 하나 원가절감과는 개념이 다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