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퍼-게이즈
[pay-per-gaze]2013년 8월 구글이 특허 출원한 눈동자 추적 기술. 이 기술을 활용하면 구글이 향후 내놓을 안경 형태의 모바일 기기 ''구글 글라스''에 달린 작은 카메라가 사용자의 시선과 표정을 분석해 사람들이 어떤 광고를 봤는지, 어떤 광고가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광고주는 TV의 시청률이나 신문의 발행 부수처럼 간접적인 지표가 아닌 사람들이 정확히 광고를 본 횟수만큼 광고료를 낼 수 있게 된다. 표정까지 분석하기 때문에 심지어 ''광고에 대해 갖는 감정''까지도 광고료 정산에 이용할 수 있다.
정보기술(IT) 전문매체 BGR은 "구글이 사용자들의 감정을 수집해 판매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수많은 구글 글라스 사용자에게서 모은 정보를 구글이 가공해 판매할 경우 광고업계는 빅데이터 혁명에 직면하게 될 전망이다. 이 기술은 인터넷 광고에서 클릭한 횟수만큼 광고료를 내는 ''페이-퍼-클릭'' 시스템을 오프라인으로 확장한 개념이다. ''페이-퍼-클릭''과 달리 눈으로 보는 모든 광고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광고뿐만 아니라 신문, 잡지, 전광판 광고에도 적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
펜타닐[Pentanyl]
강력한 오피오이드 계열의 마약성 진통제로, 주로 중증 진통이나 수술 시 진통을 위해 사용되...
-
표준개발협력기관[Co-operating Organization for Standards Development, COSD]
정부로부터 국가표준 개발·관리 업무를 이양 받은 민간단체로서 지정분야의 전문성과 대표성을 ...
-
판관비
기업의 판매와 관리, 유지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통틀어 칭하는 용어로 여기에는 급여와 복리후...
-
편입비율
편입비율은 일정 투자대상에 전체 신탁재산의 몇%를 투자하는가를 나타내는 수치. 예를 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