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페이-퍼-게이즈

[pay-per-gaze]

2013년 8월 구글이 특허 출원한 눈동자 추적 기술. 이 기술을 활용하면 구글이 향후 내놓을 안경 형태의 모바일 기기 ''구글 글라스''에 달린 작은 카메라가 사용자의 시선과 표정을 분석해 사람들이 어떤 광고를 봤는지, 어떤 광고가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광고주는 TV의 시청률이나 신문의 발행 부수처럼 간접적인 지표가 아닌 사람들이 정확히 광고를 본 횟수만큼 광고료를 낼 수 있게 된다. 표정까지 분석하기 때문에 심지어 ''광고에 대해 갖는 감정''까지도 광고료 정산에 이용할 수 있다.

정보기술(IT) 전문매체 BGR은 "구글이 사용자들의 감정을 수집해 판매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수많은 구글 글라스 사용자에게서 모은 정보를 구글이 가공해 판매할 경우 광고업계는 빅데이터 혁명에 직면하게 될 전망이다. 이 기술은 인터넷 광고에서 클릭한 횟수만큼 광고료를 내는 ''페이-퍼-클릭'' 시스템을 오프라인으로 확장한 개념이다. ''페이-퍼-클릭''과 달리 눈으로 보는 모든 광고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광고뿐만 아니라 신문, 잡지, 전광판 광고에도 적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 POM]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강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해 자동차 부품 및 전기전자제품의 기어...

  • 펜티엄 칩[pentium chip]

    미국의 인텔사가 개발한 최신형 마이크로 프로세서. PC의 핵심두뇌인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그...

  • 표본추출[sampling]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전체 대상인 모집단(population)을 설정하고 부터 모집...

  • 파이낸셜 포비아[financial phobia]

    사람들이 돈문제로 겪는 받는 심리적, 육체적 고통을 받는 증상을 말한다. 가슴 답답함과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