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효수량
[effective demand]유효수요란 시장에서 구매력이 뒷받침된 수요를 말한다. 유효수요이론은 케인스가 1930년대 대공황을 직접 경험하면서 체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제시한 것이다. 케인스 이전의 고전학파는 ‘공급이 수요를 창출한다’는 세이의 법칙(Say’s law)을 주장하였다. 고전학파들은 물건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노동력, 자본 등을 제공한 사람들에게 대가가 지불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결국 이들이 자신의 소득을 물건을 사는 데 지출할 것이기 때문에 공급만 하면 수요는 저절로 창조된다고 보았다.
이에 대해 케인스는 구매력을 수반하지 않는 욕망은 단지 잠재적 수요에 지나지 않으며, 실제로 물건을 살 수 있는 돈을 갖고 물건을 구매하려는 유효수요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장기적으로는 인구 증가와 같은 공급 측면이 경제 활동의 수준을 결정하는 데 중요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유효수요의 크기에 따라 사회의 경제활동 수준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
양극박
2차전지의 필수소재로서 2차전지의 용량과 전압을 결정하는 양극 활물질을 지지하는 동시에 전...
-
윰[Youm]
삼성전자가 2013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가전전시회(CES)에서 첫 선을 ...
-
아랍석유수출국기구[Organization of Arab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 OAPEC]
아랍 산유국들이 석유자원관리와 유가조절 등을 위해 1968년에 설립한 단체. 한편 OPEC...
-
유통광고[trade advertising]
소비자용품 또는 산업용품의 메이커나 도매업자 등이 소매업자를 대상으로 해당 상품의 매출증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