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성년후견제도

 

판단능력이 충분치 않은 고령자나 장애인의 재산과 신상을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관리하는 법률제도.

이전의 금치산제도와 한정치산제도의 문제점을 고쳐 지적·정신적 장애인들의 권리를 보호하도록 한 것이다.

금치산·한정치산 제도는 장애인 당사자의 보호보다는 사회 전체의 거래 안전을 위한 제도여서 장애인 인권이 무시되었던 반면 성년후견제도는 장애인 개개인의 장애 정도를 가정법원에서 판정해 정도에 맞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독일이나 프랑스 같은 선진국은 이 제도를 20~30년 전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일본도 2000년부터 성년후견제도를 도입했다.

한국에서는 2011년 2월 국회 본회의에서 금치산 및 한정치산제도를 폐지하고 성년후견제를 도입하는 민법개정안이 통과돼 2013년 7월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 순차적 접근[sequential access]

    알파벳이나 숫자적 순서와 같은 순차적인 결정방법에 근거를 둔 기록의 전자적 저장법. 직접파...

  • 스트립스채권제도[Separate Trading of Registered Interest and Principal of Securities, STRIPS]

    채권의 원금부분(hedging bond)과 이자부분을 분리하여 별도로 매매되는 채권을 말한...

  • 수출자주규제[voluntary export restraint]

    수입국측의 수입제한조치 발동을 회피하기 위하여 수출국 정부 또는 단체가 자주적으로 수출수량...

  • 순차전송[serial transmission]

    하나의 전선에 한 번에 한 개씩 자료를 보내는 것. 이것은 컴퓨터를 단말기에 연결시키는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