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변동비와 고정비

[variable cost, fixed cost]

조업도(생산설비의 이용도)에 따라서 변동하는 비용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재화의 생산량이 늘어나면 증가하는 형태를 띠는 비용이다. 상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재료비나 부품비, 연료비, 잔업수당, 판매원 수수료 등은 변동비로 볼 수 있다. 반면 조업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한 원가를 고정비(fixed cost)라고 한다. 생산량이 늘어나거나 줄어들어도 변동이 없는 비용이다. 고정비에는 급료, 지대(地代), 감가상각비, 이자, 보험료, 전기·수도·전화 요금 등이 포함된다. 기업이 생산활동을 지속하려면 최소한 변동비 이상의 매출을 올려야 한다. 변동비 이상을 팔아야 문을 닫는 것보다는 이익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론 변동비와 고정비를 합친 비용 이상 매출이 돼야 회사를 정상 유지할 수 있다.

  • 보증예치금[security deposit]

    임차인이 임대차 약정을 준수할 것이라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지주에게 예치하는 금전으로서 여기...

  • 붉은 여왕이론[Red Queen Theory]

    주변 상황이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어떤 대상이 진화하더라도 앞서가지 못하고 간신히 제자리를...

  • 배제조항[exclusion clause]

    보장이 거부되는 것을 표시하는 보험의 조항. 보통 배제조항은전쟁 등은 본질적으로 위험이 너...

  • 보고르목표

    1994년 인도네시아 보고르(Bogor)에서 열린 제2차 APEC 정상 회의 선언문에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