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빅 데이터

[big data]

휴대폰 통화량, 카드결제, 기상정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메시지, 인터넷 검색내역, 도로 교통량 등이 모두 빅데이터에 해당된다. 인터넷 및 스마트 IT 혁명. 스마트폰, 태블릿 PC, 클라우드 네트워킹 등으로 생성되고 확산되는 데이터의 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이나 정부는 기존의 체계 및 관리 방법으로 관리할 수 없게 될 정도이다. 스마트 시대에 넘쳐나는 모든 데이터의 양을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이를 통해 산업별로 경제적 타당성, 기술적 가능성, 혹은 관계없는 분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면서 이제까지 몰랐던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거나,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예상할 수 있게 된다. 즉 폭증하는 데이터가 경제적 자산이 되고 가치창출의 원천이 되는 것이다.

빅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통계학, 컴퓨터공학, 전자공학 등의 IT과학과 경영학, 심리학, 언어학, 뇌과학 등의 분야가 접목된 융합과학기술 분야의 지식이 필요하다. 미국 IT 리서치 기업인 가트너(Gartner)는 데이터는 미래 사회의 경쟁 우위를 좌우하는 21세기 원유라고 지칭하면서, 기업은 다가오는 데이터 경제시대를 이해하고, 정보 고립(Information Silo)을 경계해야만 성공할 수 있다고 자문하고 있다.

  • 보험중개인

    보험가입을 원하는 사람의 위탁을 받아 보험계약의 체결을 중개하고 보험회사로부터 보수를 받는...

  • 베이비스텝[baby step]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인상 폭이 05%...

  • 보안토큰[Hardware Security Module, HSM]

    내부에 CPU와 메모리 등이 장착하고 있어 외부 위협으로부터 공인인증서(개인키 포함)를 안...

  • 베블런재[Veblen goods]

    사람들의 선호가 가격형성에 직결되고, 가격이 오르면 오히려 선호도가 높아지는 재화를 일컫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