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재정력지수

 

지방자치단체의 기준재정수요액 대비 기준재정수입액으로, 1미만은 자체 수입으로 복지 수요나 인건비 등 행정수요를 충당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재정력지수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보전금과 자치구 재원조정교부금, 분권교부세, 부동산교부세 등을 산정하는데 주요 지표로 활용된다. 부동산거래 침체나 경기 부진 등으로 세입 기반이 약해지면 재정력지수가 하락하고, 이는 중앙정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음을 뜻한다.

  • 정부 3.0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한 공공정보를 개방하고 공유하며 부처간의 소통ㆍ협력 등을 통해 국...

  • 제로잉[zeroing]

    미국이 사용하는 덤핑계산 방식. 덤핑 마진을 계산할 때 수출가격이 내수가격보다 낮을 때(덤...

  • 자본 환원율[cap rate]

    상업용 빌딩에서 1년 동안 얻는 순임대수입을 빌딩거래 가격으로 나눈 것으로 투자 대 수익 ...

  • 자급제 폰과 알뜰 폰

    `자급제 폰’과 ‘알뜰폰’은 가계 통신비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것이란 점에선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