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샤프지수

[Sharp Ratio]

한 단위의 위험자산에 투자해서 얻는 초과수익률의 크기로써 펀드운용성과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샤프지수=(펀드평균수익률-국고채평균수익률)/(펀드표준편차) 이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샤프지수가 높을수록 수익률 변동폭이 크지 않으면서 높은 수익을 올리는 펀드라고 보면 된다. 1996년에 윌리엄 샤프(William F.Sharpe)가 기준으로 삼는 벤치마크 수익률과 비교해 뮤추얼펀드가 얼마나 잘 운용되었는가를 평가하기 위해 처음 도입했다.

  • 상장지수증권[exchange-traded note, ETN]

    원자재, 환율,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한 채...

  • 스턱스넷[Stuxnet]

    발전소 등 전력 설비에 쓰이는 지멘스의 산업자동화제어시스템(PCS7)만을 감염시켜 오작동을...

  • 시스템 트레이딩[System Trading]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주식을 매매하는 것. 개별종목의 내재가치나 실적 등의 펀더멘털보다...

  • 수소위원회[Hydrogen Council]

    같은 비전과 장기적인 수소 목표를 가진 에너지, 운송 및 산업 분야 기업이 에너지전환을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