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샤프지수

[Sharp Ratio]

한 단위의 위험자산에 투자해서 얻는 초과수익률의 크기로써 펀드운용성과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샤프지수=(펀드평균수익률-국고채평균수익률)/(펀드표준편차) 이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샤프지수가 높을수록 수익률 변동폭이 크지 않으면서 높은 수익을 올리는 펀드라고 보면 된다. 1996년에 윌리엄 샤프(William F.Sharpe)가 기준으로 삼는 벤치마크 수익률과 비교해 뮤추얼펀드가 얼마나 잘 운용되었는가를 평가하기 위해 처음 도입했다.

  • 스와트 분석[SWOT analysis]

    기업의 경영전략을 짤 때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

  • 산포계획[scatter plan]

    여러 종류의 라디오, TV 프로 도중에 광고방송을 예정하는 방송매체의 입안.이 입안으로 광...

  • 세컨드 홈

    '세컨드 홈'은 서울 등 수도권에 집 한 채를 가진 이들이 지방 인구감소지역에 두 번째 집...

  • 신용리스크[credit risk]

    1. 파생금융상품 거래를 했으나 거래 상대방이 계약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입는 손해를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