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부당내부거래

 

대규모 기업집단 소속회사가 같은 계열사와의 거래에서 비계열사와의 거래보다 가격 거래조건 등에 차등을 두어 혜택을 주는 것을 말한다. 계열사를 지원하기 위해 비계열사에 대한 판매가격보다 싼 가격에 공급한다거나 원료매입시 계열사의 것을 비싸게 사들이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특정 조건을 내세워 계열사에 혜택을 주는 행위도 부당내부거래에 속한다. 국제화 시대에 기업의 체질과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취지 아래 1993년부터 30대 대규모기업집단의 부당내부거래가 금지됐다. 부당내부거래는 공정거래법 제23조2항에 따른 불공정거래행위의 유형 및 기준고시에 그 근거를 둔다.

대규모기업집단이 부당내부거래를 했을 경우 공정거래위원회는 행정조치를 취하거나 검찰에 고발한다. 또 해당 기업에 행위중지명령을 내리고 부당내부거래 규모의 2%까지 과징금을 매기며 법 위반사항은 신문에 공표할 수 있는 것이 행정조치다. 사법조치로 검찰에 고발되면 부당거래 기업은 1억5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내거나 관련자는 2년 이하의 징역을 받게 된다.

  • 버퍼[buffer]

    다른 속도를 가진 두 기기 사이에 위치한 전기적 자료의 순간저장을 위한 기기. 예를 들면 ...

  • 비특혜원산지규정[non-preferential rules of origin]

    상품의 원산지국을 결정하기 위하여 회원국이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법, 규칙 또는 행정결정을 ...

  • 백랩 공정[back-lapping]

    웨이퍼 뒷면을 연마하여 두께를 얇게 만드는 공정. 반도체 성능을 높이고 제품을 더 작게 만...

  • 백신휴가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사람들에게 주는 휴가. 백신 접종 후 발열이나 통증 등으로 근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