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별단예금

[special deposit]

환, 대출, 보관 등 금융기관의 업무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결제, 미정리 자금 또는 다른 예금계정으로 취급할 수 없는 자금 등 각종 원인으로 인한 일시적 보관금이나 예수금 등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한 일시적 편의적 계정을 말한다. 따라서 일정한 거래기한이나 거래약관이 없고 예금증서나 통장 등도 발행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예치증, 영수증 또는 확인서 등을 발행해 줄 뿐이다.

별단예금은 사무처리 중에 일시 예치하는 예금이므로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따로 약정하는 경우(수표 분실에 따른 공탁자금에 대하여 은행과 예금주가 상호 합의한 경우 등)에는 별단예금에 대한 최고 이율(현재 연 1.0%) 범위 내에서 이자를 지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식불입금, 자기압수표의 발행대전, 부도대금 및 부도제재대금 등이 별단예금으로 처리된다.

  • 볼커 룰[Volcker Rule]

    미국 대형은행이 자기자본으로 위험한 투자를 하지 못하도록 한 은행자산운용 규제책으로 201...

  • 보호무역[protective trade]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가 대외무역에 개입하는 무역 제도이다. 재화 용역 등 교역...

  • 비즈쿨[Bizcool]

    중소기업특별위원회와 중기청이 2002년 청소년 창업 마인드를 키우 기 위해 마련한 창업교육...

  • 불공정거래

    증시에서 공정하지 못한 방법으로 얻은 정보를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을 속이는 등 시장 메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