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법원경매

 

채권자의 요청을 받은 법원이 채권자가 담보로 잡은 부동산을 일반에게 강제매각하는 절차. 경매를 실시하는 법원은 해당 부동산을 관할하는 민사지방법원이며 법원경매를통해 부동산을 구입하면 시세보다 보통 10∼20% 정도 싸게 살 수 있다. 주의할 점은 담보부동산의 명도책임이 매수자에게 있으므로 부동산 구입시 권리관계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법원경매 참가절차는 먼저 법원경매공고나 경매정보지를 통해 관심이 있는 부동산을 선정하고 현지에 나가 해당 물건의 등기부등본을 열람, 채무관계를 파악한다. 그다음경매 당일 도장과 예상매입금액의 10% 이상을 보증금으로 준비, 경매 한시간 전에 법원에도착, 경매 직전에 나오는 공부에서 권리관계변동을 파악하면 된다.

  • 부채한도협상

    미국 정부의 부채한도 증액을 둘러싼 협상이다. 매년 1조달러가 넘는 재정적자를 내온 미국 ...

  • 보복관세[retaliatory tax]

    외국이 자국에 불이익이 되는 조처를 취했을 때 이에 대응해 해당 국가에서 수입하는 상품에 ...

  • 변액연금[variable annuity, VA]

    전통적인 연금보험과는 실적배당이라는 데에 차이가 있다. 연금지급 개시 전까지는 변액보험으로...

  • 비콘[iBeacon]

    블루투스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최대 70m 이내의 장치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