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포이즌 풋

[poison put]

포이즌 풋은 해당 기업이 채무를 일시에 상환하는 제도로 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포이즌 풋은 적대적 M&A를 피하는 방법으로도 쓰인다. 적대적 M&A 시도가 있을 때 해당 기업이 은행 등에 채무를 일시에 상환, 기업가치를 급격히 떨어뜨려 인수 대상으로서의 매력을 잃게 만든다. 기업 사냥꾼에게는 독과 같다 해서 포이즌 풋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 6월 하이닉스반도체가 처음으로 이 제도를 도입했다.

  • 프로젝션[TV projection TV]

    거실에 앉아 벽면을 가득 메운 대형 화면을 통해 TV프로나비디오 등을 즐길 수 있는 TV....

  • 푸얼다이[富二代]

    중국에서 부모에게서 막대한 부를 물려받아 호화생활을 하는 재벌2세를 일컫는 말.

  • 파파고[papago]

    네이버가 인공지능(AI)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기계번역 서비스. 2017년 7월 정식 출시...

  • 판매대리점[selling agent]

    일정한 지역에 있어 제조업자가 자사 제품의 판매대리권을 부여한 기업이다. 판매점은 특정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