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하인리히 법칙

[Heinrich's law]

1930년대 초 미국 보험회사의 관리 감독자였던 하인리히(H.W.Heinrich)가 주창한 법칙. 그는 5,000여건의 산업재해를 분석해 본 후 "1 대 29 대 300"이라는 하인리히 법칙을 만들었다. 이는 대형사고 1건이 발생하기 전에 같은 요인으로 유사한 29건의 경미한 사고가 있었고 경미한 사고 이전에는 같은 원인에서 비롯된 사소한 증상들이 300건이나 있었다는 것이다.

하인리히 법칙은 위기는 우연히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게 아니라 그 이전에 반드시 경미한 사고들이 반복되는 과정 속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사소한 변화를 미리 감지하고 잘못된 점을 고치면 이후에 닥칠 수 있는 큰 위기를 방지할 수 있지만 반대로 방치하면 훗날 돌이킬 수 없는 사고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이다.

  • 환덤핑[excahnge dumping]

    일본이 엔화가치 하락을 통해 경기를 부양하는 과정에서 "환덤핑(excahnge dumpin...

  • 해비타트[Habitat]

    무주택 서민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의 변호사인 밀러드와 그의 부인 풀러가 19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기초과학기술 개발을 주임무로 하는 국책 종합연구기관으로 1965년 설립됐다. 과기 분야 첫...

  • 회독율[passalong readership]

    신문이나 잡지 한 부가 돌 려 읽혀지는 비율. 회독율이 높을 수록 높은 광고효과를 기대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