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하인리히 법칙

[Heinrich's law]

1930년대 초 미국 보험회사의 관리 감독자였던 하인리히(H.W.Heinrich)가 주창한 법칙. 그는 5,000여건의 산업재해를 분석해 본 후 "1 대 29 대 300"이라는 하인리히 법칙을 만들었다. 이는 대형사고 1건이 발생하기 전에 같은 요인으로 유사한 29건의 경미한 사고가 있었고 경미한 사고 이전에는 같은 원인에서 비롯된 사소한 증상들이 300건이나 있었다는 것이다.

하인리히 법칙은 위기는 우연히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게 아니라 그 이전에 반드시 경미한 사고들이 반복되는 과정 속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사소한 변화를 미리 감지하고 잘못된 점을 고치면 이후에 닥칠 수 있는 큰 위기를 방지할 수 있지만 반대로 방치하면 훗날 돌이킬 수 없는 사고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이다.

  • 할증수익[premium income]

    풋 옵션, 콜 옵션 판매시 투자가의 이익. 투자가는 행사 주식 보유시에는 포함옵션, 행사주...

  • 하이퍼마켓[hyper market]

    영국, 프랑스, 서독 등 유럽에서 최근 수년 이래 발생한 소매형태. 철저한 디스카운트 판매...

  • 항해사

    항해사는 선박 운항을 맡은 사람으로 조타수에게 방향을 지시하는 등 지휘 역할을 수행한다.

  • 항체·약물 결합 치료제[Antibody Drug Conjugate, ADC]

    암세포를 찾아가는 항체에 암세포를 죽이는 약물(페이로드)을 결합한 치료제다. '항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