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유연근무제도

 

단시간 근로, 시차출퇴근제, 집중근무시간제, 요일근무제, 재택근무 등 육아 및 가사노동을 직장 일과 병행해 수행하려는 근로자를 위한 탄력적 근무 형태를 말한다. 유연근무제도는 남녀 노동자의 일·가정 양립 여건을 제고하고 융통성있는 경력 설계를 가능하게 해 여성의 노동시장 탈락을 예방하고, 나아가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연근무제도는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이 마련돼 제도적 기반은 있으나 활용은 타 OECD국에 비해 미흡한 단계다.

  • 업계표준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큰 컴퓨터 업체들이 몇몇 모여 ‘이런 기능의 제품은 이렇게 만들자’고 ...

  • 유보율[reserve ratio]

    잉여금(자본잉여금+이익잉여금)을 납입자본금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설비확장 또는 재무구조의...

  • 윈스[WINSS]

    미국 경제전문지 마켓워치가 2014년부터 2017년까지 글로벌 강세장을 이끌어온 팡(FAA...

  • 유지관리부 리스[maintenance lease]

    통상적인 리스는 이용자가 대상물건을 취득할 때 그 비용에 대해서만 금융지원을 받는다. 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