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거액신용공여 한도제

 

은행이 특정 기업이나 계열 기업군에 지나치게 많은 돈을 빌려주는 것을 막기 위한 제도. 원래 ''거액여신 총액한도제''였으나, 정부가 지난 99년 4월 개정된 개정 은행법에서 기업의 은행 차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신용관리 기준에 종전의 ''여신'' 개념 대신 ''신용공여''의 개념을 도입함에 따라 ''거액신용공여 총액한도제''로 변경되었다.

신용공여는 기존 은행 종금 보험사 등의 대출금, 지급보증, 기업어음(CP) 매입, 사모사채 뿐만 아니라 역외 외화대출, 크레디트 라인, 회사채, 미확정 지급보증 내용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거액신용공여한도제는 은행별로 동일인 또는 동일차주에 대한 신용공여가 해당은행 자기자본의 10%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거액신용공여로 규정하고, 모든 거액여신의 합계액이 은행 자기자본의 5배를 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거액의 자금이 한 기업 등에 몰려 있어 해당 기업이 부실화될 경우 은행도 같이 부실화되는 현상을 막기 위한 제도다.

  •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고용주가 매월 근로소득을 지급할 때 적용하는 세액표. 소득세법 시행령에서 규정하고 있다. ...

  • 고스트현상[ghost image problem]

    디스플레이에 잔상이 남아 번져보이는 현상.

  • 글래머 주식[glamor stock]

    미국 증권계의 용어로 지극히 매력적인 주식이라는 의미로서 대단히 성장성이 높은 우량주를 일...

  • 가격통제[price control]

    정부나 공공기관이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가격의 상한선이나 하한선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