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인감증명제

 

거래 당사자가 날인한 인장의 인영이 본인이 행정기관에 신고한 인감과 동일한 경우 거래 당사자의 본인임을 확인하는 제도로, 일본 강점기인 1914년에 도입됐다.공적·사적 거래관계에 있어 본인 의사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100년 가까이 활용돼온 셈이다.인감을 신고한 사람은 전 국민의 66.5%에 이르며,2008년 전국 읍·면·동 등 3850개 기관에서 4846만통이 발급됐다.

  • 용적률[floor area ratio, FAR]

    건축물의 연면적(건축물 각 층 바닥면적의 합계)을 대지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지하층 및 주...

  • 인플루엔자 백신[Influenza Vaccine]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독감 예방을 위해 사용하는 백신이다. 주로 비활성화...

  • 연성차관[soft loan]

    상환기간이 길거나 금리가 낮아 차주에게 원리금 상환부담이 가벼운 차관. 상환기간이 1년 이...

  • 연대보증

    개인이나 기업이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릴 때 원래 채무자가 빚을 갚지 못할 경우 이 빚을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