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인감증명제

 

거래 당사자가 날인한 인장의 인영이 본인이 행정기관에 신고한 인감과 동일한 경우 거래 당사자의 본인임을 확인하는 제도로, 일본 강점기인 1914년에 도입됐다.공적·사적 거래관계에 있어 본인 의사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100년 가까이 활용돼온 셈이다.인감을 신고한 사람은 전 국민의 66.5%에 이르며,2008년 전국 읍·면·동 등 3850개 기관에서 4846만통이 발급됐다.

  • 위상수학[topology]

    공간 속 물체의 점, 선, 면 등 특성을 토대로 위치와 형상을 탐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 ...

  • 원유DLS

    WTI, 브렌트유 등 원유 가격과 연계해 수익률이 결정되는 금융투자상품이다. 기초자산인 원...

  • 위성항법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1인공위성을 이용해 대상물의 위치, 고도, 속도를 알아내는 위성위치측정시스템. 3개 이상의...

  • 온실가스 배출부채

    기업이 탄소배출 할당량을 초과해 탄소를 배출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탄소배출권을 구매해야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