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인감증명제

 

거래 당사자가 날인한 인장의 인영이 본인이 행정기관에 신고한 인감과 동일한 경우 거래 당사자의 본인임을 확인하는 제도로, 일본 강점기인 1914년에 도입됐다.공적·사적 거래관계에 있어 본인 의사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100년 가까이 활용돼온 셈이다.인감을 신고한 사람은 전 국민의 66.5%에 이르며,2008년 전국 읍·면·동 등 3850개 기관에서 4846만통이 발급됐다.

  • 에너지효율운항지표[Energy Efficiency Operational Indicator, EEOI]

    기존 선박의 운항 시 연비효율을 나타내는 지표. 국제해사기구(IMO)가 선박 운행 시 탄소...

  • 을기금 capital B

    을기금은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지급보증한도, 동일인 여신한도 등 은행법상의 영업규제와 관련하...

  • 의약품 특례수입 제도

    감염병 대유행 등 공중보건 위기상황에서 관계 부처장의 요청에 따라 약사법 제 85조의2에 ...

  • 우수실험실운영기준[Good Laboratory Practice, GLP]

    의약품, 화장품 등의 안전성 평가를 하여 실시하는 각종 독성시험의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