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복합불황

 

기업과 금융회사가 동시에 부실화되면서 실물과 금융이 함께 침체되는 상황. 경기침체속에 부동산가격이 내려가고 부도기업은 늘어나면 부실이 늘어난 금융회사도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주가까지 연쇄적으로 폭락하는 장기적 불황국면. 쉽게 말해 경제전체가 중병을 앓는 상태를 말한다. 1991년부터 2002년 까지 일본이 겪었던 ''잃어버린 10년''이 대표적인 복합불황의 예다. 1992년 미야자키 요시카즈 교토대 명예교수가 <복합불황>이라는 책을 내면서 일반화됐다.

  • 베넷-해치-카퍼 수정법안[Bennet-Hatch-Carper Amendment, BHC Amendment]

    베넷-해치-카퍼(Bennet-Hatch-Carper)’ 수정법안은 ‘2015 무역강화 및 ...

  • 법정준조세

    기업들이 기업활동과 관련해 필수적으로 부담해야 할 순수한 조세이외의 모든 경제적 부담을 말...

  • 불특정 금전신탁

    고객이 지정한 상품에 투자해 수익을 돌려주는 특정금전신탁과 달리 상품을 고객이 특정하지 않...

  • 범위요율

    범위요율이란 은행에서 지점장의 재량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전결 금리''처럼 ''손...